피보나치 첫 번째 수업에서 지지선 및 저항선 수준은 최종적으로 브레이크한다고 말한 것을 기억하고 있나요? 피보나치도 지지선 및 저항선 수준을 찾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마찬가지입니다.
피보나치 리트레이스먼트는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누구나 다룰 수 있을 만큼 쉬운 것도 아닙니다. 여기서는 피보나치 리트레이스먼트가 실패로 끝날 예를 살펴 보겠습니다.
이 통화 쌍은 하향 추세에 있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엔트리 포인트를 파악하기 위해 피보나치 리트레이스먼트를 실행하기로 결정합니다. 이미지대로, 1.5383로 스윙 하이 그리고 1.4799로 스윙 로우를 설정합니다.
또한 50 % 레벨 근처에서 가격의 움직임이 실속하고 있던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매도 주문을 넣었으면 어떻게 될까요.

이 레벨에서 매도 주문을 넣었으면, 적절한 위험 관리를 하지 않으면 꿈이 연기처럼 사라질 뿐만 아니라, 계좌 잔액도 심각한 상태가 되었겠죠.

예상과는 달리, 스윙 로우가 하향 추세의 최하단이었다는 것, 그리고 가격이 스윙 하이 포인트까지 뚫고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교훈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보나치 리트레이스먼트가 성공 확률을 높이는 한편, 다른 기술 툴처럼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경향을 다시 성형하기 전에 38.2 %에 돌아올지는 모르겠습니다.
때때로 반전 전에 50.0 % 또는 61.8 %에 해당할 지도 모릅니다.
기억해둡시다.
임시적인 지지선 및 저항선을 감지한 후 상승 추세가 다시 안 올 수도 있습니다. 다만, 대신 최근 스윙 하이 또는 스윙 로우를 계속 통과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리트레이스먼트 툴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문제로 스윙 로우 또는 스윙 하이 중 어떤것을 사용 하느냐는 문제가 있습니다.
사람마다 차트를 보는 방식 차이가 있고 캔들 스틱의 기간도 다르고,펀더멘털 관점도 다릅니다. 따라서 스윙 하이 또는 스윙 로우 포인트에 관해서도 각각 의견이 달라집니다.
중요한 것은, 특히 차트상의 추세가 명확하지 않을 때, 절대적인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추측 게임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스킬을 높여 피보나치 리트레이스먼트 툴을 다른 툴과 함께 사용하며 성공 확률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레슨에서는 다른 형태의 지지선 및 저항선 레벨 그리고 캔들 스틱과 조합한 피보나치 리트레이스먼트 툴 사용법을 가르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