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리서치

크립토 속보

크립토 속보

  7 July 2025

12:39 PM
코어위브, 주식 거래로 코어사이언티픽 인수 계획

GPU 클라우드 제공업체 코어위브가 암호화폐 채굴업체 코어사이언티픽을 주식 거래 방식으로 인수할 계획이라고 외신이 전했다. 이에 따라 인수 대금은 코어위브 주식으로 전액 지불되며, 이번 거래에서 코어사이언티픽의 기업 가치는 90억 달러로 평가됐다.

12:39 PM
스트래티지 "영구 우선주 통해 $42억 조달 계획"

스트래티지(MSTR)가 지난달 발행한 새로운 영구 우선주(STRD)를 통해 42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라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했다. 스트래티지는 지난달 초 STRD 250만주를 발행할 계획이며, 조달된 자금을 BTC 매입과 운영 자금 등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12:28 PM
부동산 개발업체 무라노, BTC 비축안 추진

나스닥 상장 부동산 개발업체 무라노(티커 MRNO)가 비트코인 비축안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현재 운영 중인 멕시코 호텔 및 리조트 사업을 지속하면서 별도로 BTC를 비축한다는 구상이다. 무라노는 최근 21 BTC를 매입했다.

12:25 PM
셈러 사이언티픽, 187 BTC 추매

나스닥 상장 의료기술업체 셈러 사이언티픽(SMLR)이 187 BTC를 추가 매수했다고 셈러 BTC 전략 디렉터 조 버넷이 전했다. 현재 셈러는 4636 BTC를 보유 중이다.

12:17 PM
스트래티지, 지난주 BTC 추매 일시 중단...현재 $650억 상당 보유

스트래티지(MSTR)가 6월 30일부터 7월 6일(현지시간)까지 비트코인 추가 매수를 일시 중단했다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8-k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6월 30일 기준 스트래티지는 597,325 BTC를 보유 중이며, 가치는 약 650억 달러다. 평단가는 70,982 달러로 매입에 들어간 비용은 424억 달러다. 이에 따라 스트래티지는 현재 226억 달러 상당 미실현 수익을 기록 중이다.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 설립자는 "어떤 주에는 BTC를 그냥 HODL(보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11:44 AM
이더스캔, 하이퍼EVM 스캔 출시

이더리움(ETH) 익스플로러 이더스캔이 하이퍼EVM용 블록 익스플로러 하이퍼EVM 스캔(HyperEVM Scan)을 출시했다고 공식 X를 통해 발표했다.

11:35 AM
영국 상장사 GS테크놀로지, $272만 모금...BTC 매입 예정

영국 상장사인 블록체인 결제업체 GS테크놀로지(GSTechnologies)가 기관 투자자 및 소액 공모를 통해 총 200만 파운드(약 272만 달러)를 모금했으며, 해당 금액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할 예정이라고 비트코인뉴스가 전했다.

11:30 AM
미 디지털자산 실무그룹, 7/22 암호화폐 정책 보고서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디지털자산 실무그룹이 오는 22일(현지시간)까지 암호화폐 정책에 대한 첫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크립토인아메리카가 전했다. 이를 위해 미 재무부, 상무부, 증권거래위원회(SEC),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등이 협력했다. 보고서에는 암호화폐 규제 및 입법 제안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납세자 부담 없는 BTC 전략 비축안 추진과 암호화폐 기업들의 연방준비은행 서비스 접근 권한 보장 등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됐다.

11:27 AM
아이리스에너지, 6월 620 BTC 채굴

미국 나스닥 상장 비트코인 채굴업체 아이리스에너지(티커: IREN)가 지난 6월 620 BTC를 채굴했다고 발표했다. 전월(5월·627 BTC) 대비 채굴량이 소폭 감소했다. 아울러 아이리스에너지는 앞서 발표한 5.5억 달러 규모 전환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 발행이 초과 청약됐다고도 덧붙였다.

10:14 AM
분석 "BTC 옵션 시장 변동성 둔화...2023년 중반 이후 최저"

비트코인 옵션 시장에 여름철 둔화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가 분석했다. 글래스노드는 "BTC가 사상 최고가 근처에 머물고 있음에도 옵션 시장은 1주~6개월 등 대부분 만기물에 걸쳐 역대 최저 수준 내재 변동성(IV)을 기록 중이며, 이는 2023년 중반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