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리서치

크립토 속보

크립토 속보

  10 July 2025

11:37 AM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 기관 고객용 장외결제 서비스 출시

코인베이스의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 익스체인지가 기관 고객용 장외결제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를 위해 코퍼의 클리어루프 시스템을 도입했다. 기관 고객은 이를 통해 거래소로 자금을 옮기지 않고도 실시간 담보 관리 및 결제가 가능하다. 버뮤다 통화청 규제를 받으며, 향후 USDC 이외의 담보 자산을 추가할 방침이다.

11:36 AM
유럽, ‘미카법 위반 혐의’ 몰타 조사

유럽 증권시장감독청(ESMA)이 암호화폐 규제법인 미카(MiCA)를 위반한 혐의로 몰타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ESMA는 조사결과 보고서를 통해 "몰타는 특정 업체가 암호화폐 서비스 공급업체(CASP) 라이선스 발급 조건을 완벽히 갖추지 못했음에도 이를 발급해 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몰타는 해당 라이선스 발급과 관련한 절차가 다소 부실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매체는 “조사 내용을 종합했을 때 해당 기업은 OKX로 추정되며 OKX 측은 이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고 설명했다.

11:15 AM
나스닥 상장사 시퀀스, 370 BTC 첫 매수

나스닥 상장사 시퀀스커뮤니케이션이 370 BTC를 매수했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전헀다. 앞서 시퀀스는 BTC 투자를 위해 보통주 및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3억 8,400만 달러를 조달한 바 있다.

11:13 AM
이지랩스, $107만 1INCH 바이낸스 입금

이지랩스(구 바이낸스랩스) 추정 주소가 30분 전 500만 1INCH(107만 달러)를 바이낸스에 입금했다고 아캄이 전했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입금은 물량 매도 목적으로, 출금은 보유 목적으로 해석된다. 단, 거래소 입금이 반드시 물량 매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11:13 AM
월드, 독일서 홍채 스캔 일시중단…기기 점검

홍채 스캔 신원 인증 프로젝트 월드(WLD)가 홍채 스캔 기기(스테이션) 점검으로 독일에서 홍채 스캔을 일시 중단한다고 DL뉴스가 전했다. 월드 측은 재개 시기를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다.

11:08 AM
럼블, 자사 월렛 개발 파트너로 문페이 선정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 럼블(나스닥 티커: RUM)이 자사 암호화폐 월렛 개발 파트너로 암호화폐 결제업체 문페이를 선정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럼블은 올 3분기 출시를 목표로 럼블 월렛을 개발하고 있으며, 여기에 문페이 인프라를 적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10:15 AM
비트마이닝, SOL 투자로 전략 수정…최대 $3억 조달 방침

비트코인 채굴기업 비트마이닝(BTCM)이 솔라나(SOL) 매집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최소 2억 달러에서 최대 3억 달러를 조달해 SOL 매집에 활용한다. 또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암호화폐도 단계적으로 SOL로 스왑한 뒤 장기 보유할 방침이라고 비트마이닝은 설명했다.

09:49 AM
올 2Q NFT 거래량↓…거래 건수는 증가

지난 2분기 NFT 거래량은 감소했지만 판매 건수는 증가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매체는 "지난 2분기 NFT 판매 건수는 1250만 건을 기록하며 직전 분기 대비 78% 증가했다. 반면 2분기 거래량은 8.23억 달러로 직전 분기(15억 달러) 대비 45%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09:35 AM
이더리움 24시간 선물 거래량, 비트코인 추월

온체인 분석업체 글래스노드가 X를 통해 “이더리움 24시간 선물 거래량이 비트코인을 추월했다. 이더리움은 621억 달러, 비트코인은 617억 달러 수준이다. 이는 매우 드문 현상이며, 향후 트레이더들의 포지션과 관심에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09:00 AM
분석 "BTC 상승, 미국발 매수세가 주도"

크립토퀀트 기고자 부락 케스메치(Burak Kesmeci)가 "오늘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배경에는 미국 투자자들의 강한 매수세가 있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갭이 한때 42포인트까지 확대됐는데, 이는 코인베이스 내 BTC 가격이 바이낸스 대비 42달러 이상 높았음을 의미한다. 코인베이스에서의 매수세가 이번 상승을 주도한 것이다. 이 격차는 지난주 87.76달러까지 벌어지기도 했다”고 분석했다.